네트워크 계층 구조 (OSI 7계층)

  • 네트워킹에 대한 표준을 7계층으로 나눈 것
  •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기 위함
  • 물리 계층
    •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
    • 어떻게 통신이 일어나는지 흐름제어 오류 검출 등
  • 네트워크 계층
    • 최적의 경로를 설정
  • 전송 계층
    • 데이터
  • 세션 계층
    • 통신 관리
  • 표현 계층
    •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
  • 응용 계층
    • 사용자에게 UI로 보여주는 계층

프로토콜

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(이더넷과 네트워크 장비)

네트워크 계층 (IP)

  • 인터넷 프로토콜의 약자로 인터넷 망을 통해 패킷을 전달하는 프로토콜
  • 비신뢰성
    • 데이터 흐름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패킷이 제대로 갔는지 보장하지 않는다.
  • 비연결성
    • 연결상태임을 확인하지 않고 전송

전송 계층(TCP와 UDP)

TCP

  •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
  • 연결을하여 3 way handshaking, 4 way handshaking으로 이루어짐
  • 보내는 걸 파악하고 있으니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 가능하다

UDP

  • 비연결성이므로 빠른 프로토콜
  • 패킷 관리가 필요함

DNS

  • 도메인 주소를 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
  • URL을 입력하면 ISP가 관리하는 DNS해석기에서 요청을 라우팅 시킴
  • DNS해석기가 루트 서버에 top-level의 서버 주소를 요청
  • top-level > second-level > sub DNS server
  • 최종적으로 IP주소를 얻게됨
  • naver.com > com에서 naver를 찾음

로드밸런서

  •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주는 시스템
  • L4(전송계층까지만 열어보고 분산), L7(전체를 열어보고 분산)
  • DDos같은 비정상적인 트래픽도 필터링할 수 있음

 

응용 계층(HTTP와 HTTPS)

 

프록시와 안정적인 트래픽

- 가용성

- 고가용성
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정리 - JAVA  (0) 2024.10.30
정리 - 데이터 베이스  (1) 2024.10.30
정리 - 자료 구조  (0) 2024.10.30
정리 - 운영체제  (0) 2024.10.30
정리 - 컴퓨터 구조  (0) 2024.10.30